수원 이목지구
종전부동산 이목지구 도시개발사업
수원 성균관대학교에서 영동고속도로를 타기위해 서부로를 따라가다 보면 오른쪽으로 큰 규모의 공사가 진행되는 것이 보입니다. 이곳이 바로 종전부동산 이목지구 도시개발사업 도시개발지구입니다.
처음에 종전부동산이라는 단어가 무슨 뜻인지 궁금해서 찾아 봤습니다.
『종전부동산』 (從前不動産)
- 지방 도시로 이전하는 수도권 소재의 공공 기관들이 보유하는 청사 등의 건축물과 그 부지를 이르는 말. 예를 들어 ‘국가 균형 발전 특별법’에 따라 혁신 도시 등으로 이전하는 공공 기관들의 수도권 부지가 이에 해당한다.
"종전부동산 이목지구 도시개발사업 도시개발지구" 볼수록 더 알아보고 싶어지는 것 같습니다. 그래서 수원시고시제2020-149에서 세부 내용을 살펴 봤습니다.
1. 도시개발구역의 명칭(변경없음)
○ 종전부동산 이목지구 도시개발사업
2. 도시개발구역의 위치 및 면적(변경)
○ 위 치 :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 475번지 일원(변경없음)
○ 면 적 :
기정) 466,576㎡
변경) 473,721㎡(증 7,145㎡)
3. 도시개발구역의 지정목적(변경없음)
○ 「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」에 따라 수립된 종전 부동산 활용계획을 도시개발사업을 통한 적합한 토지이용을 유도하여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으로 인한 공동화현상 방지
○ 생활편익시설 확충을 통한 북수원 생활권의 중심거점 조성
○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을 통한 자족도시 건설로 지역균형발전 선도
4. 도시개발사업 시행자와 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(변경)
○ 시 행 자 :
기정) 한국농어촌공사
변경) 한국농어촌공사 토지개발사업단장
○ 주 소 :
기정) 전라남도 나주시 그린로 20
변경)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91
5. 도시개발사업의 시행기간 및 시행방법(변경)
○ 시행기간 :
기정) 2016년 ~ 2019년(공사 완료일)
변경) 2017.12.29(개발구역 지정일) ~ 2022. 12. 31(공사완료일)
※ 공원 조성을 놓고 수원시와의 협의가 지연되면서 계획보다 3년 미뤄진 2026년 12월로 준공이 늦춰짐
○ 시행방식 : 수용 또는 사용방식(변경없음)
▷준공 지연에 따른 문제점
- 최근 치솟은 금리와 부실 PF(파이낸싱 프로젝트) 사태 등으로 자금줄이 막히면서 부지 개발을 하지도 못한 채 금융 비용만 매달 수천만원을 납부하고 있어 구제 방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입니다. 농어촌공사는 수분양자들이 금리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으로 ‘중도금 반환 채권 대출 상품’을 안내했습니다. 그러나 이 상품은 수분양자의 신용 상태에 따라 타 대출보다 금리가 낮거나 높을 수 있어 일부 기업은 해당 상품의 도움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. 다른 상품을 안내한다고 하더라도 결국 건설사에서는 비용이 꾸준히 증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.
- 결국 이러한 피해는 앞으로 해당 부지에 아파트를 분양 받을 분양자가 떠 안게 됩니다. 건설사에서는 사업 지연에 따른 건설비 증가분을 아파트 분양가에 포함 시킬 수 밖에 없고, 이를 분양 받는 분양자 입장에서는 점점 분양가가 높아지게 됩니다. 서민의 입장에서는 어디에 하소연할 수도 없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.
종전부동산 이목지구 도시개발사업은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기존에 있던 부동산, 토지를 잘 활용하여 기존 지역의 공동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.
그럼 어떤 기관이 이전하는 것일까요?
위성사진으로 이전의 상태를 확인해 보면 전부 논/밭 그리고 비닐하우스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습니다. 토지세목조서를 보면 대부분 토지가 지목이 전이고 소유주가 한국농어촌공사인 것을 알수 있습니다.
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 2005년, 광주․전남 이전대상 기관으로 선정된 후 ‘지방이전추진기획단’을 구성, 사옥이전을 추진해 2014년 하반기, 사옥이 준공되어 700여명의 본사직원이 이전하였습니다.
종전부동산 이목지구 입지
이목지구는 수원에서도 북쪽에 위치한 북수원, 북수원 중에서도 거의 의왕과 붙어 있는 끝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 그래서 종전부동산 개발이 되기전에는 논/밭의 형태로 시골 같은 분위기였습니다.
하지만 대부분이 구도심으로 교통이 좋지 않은 수원에 비해 북수원은 오히려 서울로 가기가 쉽고 외곽의 도로와 잘 접해 있어 교통적인 측면에서는 훨씬 유리합니다.
월암IC를 이용하면 봉담과천로를 통해 바로 과천 및 사당으로 진입할 수 있고, 북수원IC를 통해 영동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최근 수원북부순환로가 개통하여 광교지구 및 용인 지역으로의 이동 또한 편리해졌습니다.
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최근에는 북수원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. 대표적으로 화서역에 스타필드가 개장하였고, 당수지구 및 이목지구 등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 입니다.
앞으로 수원역에 GTX-C가 개통되고, 인접한 수원정자지구에 동탄-인덕원선이 개설되면 북수원은 더 빠르게 발전하리라 봅니다.
'재테크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원 이목지구 - A3, A4블록 디에트르 더 리체 상세 분석 [현장 분석] (67) | 2024.04.15 |
---|---|
수원 이목지구 - A3, A4블록 디에트르 더 리체 분양정보 [현장 분석] (45) | 2024.04.14 |
복정지구 현장 분석 - 산성구역 재개발(산성역헤리스톤) (57) | 2024.04.12 |
복정지구 현장 분석 - 산성역 포레스티아 (49) | 2024.04.11 |
복정 지구 현장 분석 - 복정1지구 B2 블록 (25) | 2024.04.10 |